실전 드론 사고 백서
드론 비행 규정 심화: 복잡한 법규 쉽게 이해하고 승인받기
바람2020
2025. 11. 15. 11:42
아무리 멋진 영상을 담아도, 비행 규정을 위반하면 벌금이나 과태료 처분을 받을 수 있고, 더 심각하게는 항공 안전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드론 촬영은 **'합법적인 비행'**이 전제되어야 합니다. 오늘은 복잡하게 느껴지는 드론 관련 법규를 쉽게 이해하고, 필요한 경우 비행 승인을 받는 실질적인 노하우를 알려드립니다.
1. 드론 비행의 3대 금지 구역 (알고 찍자!)
| 구역 명칭 | 규정 내용 | 필수 조치 |
| 1. 비행 금지 구역 (P-Area) | 수도권, 원자력 발전소, 공항 주변 등 국가 안보상 비행이 절대 금지된 구역. | 원칙적으로 비행 불가. 군/국토교통부의 특별 승인이 필요하며, 취미 비행은 사실상 어려움. |
| 2. 비행 제한 구역 (R-Area) | 공항 주변 (관제권), 군부대 근처 등. 조건부 비행이 허용되는 구역. | 국방부/지방항공청의 승인 필수. 반드시 승인 후 비행해야 함. |
| 3. 고도 제한 구역 | 비행하는 모든 지역에서 지표면/수면 기준 150m 이상은 비행 승인 필요. | 150m 이하로 비행하거나, 초과 시 비행 승인 필요. |
🚨 가장 흔한 실수: '250g 미만 드론'은 기체 신고나 자격증이 필요 없을 뿐, 이 3대 금지 구역 규정은 250g 이상 드론과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2. 비행 전 필수 앱: 드론원스톱 (Drone One-Stop)
비행 가능 여부를 가장 정확하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공식 창구입니다.
- 활용법: 드론 비행 전, 이 앱을 통해 비행 예정 지점을 검색하고, 해당 지역이 P-Area/R-Area에 속하는지 반드시 확인하세요.
- 비행 승인 신청: 비행이 제한된 구역이거나 150m 초과 비행이 필요할 경우, 앱을 통해 국토교통부 또는 국방부에 온라인으로 비행 승인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늦어도 3일 전 신청 권장)
3. 사생활 보호와 촬영 유의사항
법규만큼 중요한 것이 **'국민들의 사생활과 재산 보호'**입니다.
- 인구 밀집 지역: 사람이 많은 곳 위를 비행하는 것은 안전사고의 위험과 사생활 침해 논란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드론을 띄울 때 주변에 사람이 없는지 확인하세요.
- 개인 주택 촬영 금지: 타인의 집이나 사적인 공간을 촬영하는 것은 사생활 침해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부득이한 경우를 제외하고 피해야 합니다.
4. 만약 비행 규정을 위반했다면? (벌금 및 과태료)
- 무단 비행 시: 비행 금지/제한 구역 또는 승인 없이 150m 초과 비행 시, 최대 20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 무자격 비행 시: 25kg 초과 드론을 자격증 없이 비행할 경우, 최대 500만원의 벌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 실용적 조언: 비행이 가능한 '자유 비행 구역(Free Flight Zone)'을 찾아 안전하게 연습하고 촬영하는 것이 가장 현명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