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전 드론 사고 백서

색으로 감정을 말하는 드론 색보정 기초

바람2020 2025. 7. 14. 15:57
반응형

 색으로 감정을 말하는 드론 색보정 기초— 드론과 감성사진 수업 ep.43

영상을 촬영하고 나면
대부분의 드론러는 **"어떻게 편집해야 할까?"**에 고민을 많이 해요.
그중에서도 **'색보정'**은 영상의 전체 분위기를 바꾸는 아주 중요한 작업입니다.

오늘은 복잡한 LUT도, 다빈치 리졸브도 잠시 내려두고
감성에 집중한 색보정의 기초 개념을 함께 정리해볼게요.


 색보정은 '정보 보정'이 아니라 '감정 전달'

드론이 담아낸 영상은
기술적으로는 아주 선명하고 깨끗하지만,
그 안에 감정은 비어 있는 경우가 많아요.

→ 색보정은 단순히 밝기/대비/색온도를 조절하는 게 아니라
보는 사람에게 감정과 분위기를 전하는 작업이에요.


 색이 주는 감정 키워드 예시

색상 톤전달하는 감정
따뜻한 주황빛 아늑함, 따뜻한 기억, 노을
옅은 청색 고요함, 쓸쓸함, 이른 새벽
선명한 녹색 생명감, 시원함, 여름 자연
낮은 채도 + 높은 대비 고독, 깊은 분위기, 도시적
파스텔톤 몽환적, 감성적, 꿈같은 장면
 

→ 영상의 주제와 감정에 따라 색을 선택하면 말 없이도 전달되는 메시지가 생겨요.


 색보정 기본 도구(프리미어 프로 기준)

  1. 노출: 전체 밝기 조절
  2. 하이라이트 / 섀도우: 빛이 닿는 곳과 그늘의 깊이 조절
  3. 화이트 밸런스: 영상 전체 색감의 방향성 결정
  4. 채도(Saturation): 색의 강도 조절
  5. 색온도(Temperature): 차가운 색 ↔ 따뜻한 색

⚠️ 처음에는 과하게 보정하지 말고,
‘조금 덜’ 보정했을 때 가장 감성적인 경우가 많아요.


 예시: 상황별 색보정 감정 연출

1. 노을을 담은 영상

→ 색온도 ↑, 채도 ↑
→ 오렌지 + 보라색 강조 → 따뜻한 여운

2. 이른 아침 풍경

→ 색온도 ↓, 대비 ↓
→ 옅은 블루, 흐릿한 빛 → 고요함, 쓸쓸함

3. 도심 속 골목길

→ 채도 ↓, 대비 ↑
→ 회색빛 분위기 + 노란 조명 강조 → 감성적인 도시풍

4. 초록 산길 + 여름 숲

→ 초록 채도 ↑, 그림자 강조
→ 깊고 짙은 생명감 표현


 음악과 색의 조화

  • 따뜻한 음악 + 따뜻한 색 → 감정에 몰입
  • 차가운 톤 + 잔잔한 음 → 몽환적 연출
  • 색보정은 음악과 함께 감정을 조율하는 작업이에요.

 오늘의 정리

  1. 색보정은 정보를 보완하는 기술이 아니라
    감정을 표현하는 언어입니다.
  2. 단순한 색 하나가
    장면 전체의 분위기와 스토리를 뒤바꿀 수 있어요.
  3. ‘무슨 색을 쓸까?’가 아니라
    ‘무슨 감정을 전달하고 싶은가?’로 출발하세요.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