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보고 절차 및 유관기관 비상연락 체계
2025. 9. 19. 13:17ㆍ실전 드론 사고 백서
반응형
드론 비상상황 매뉴얼 — 사고보고 절차 및 유관기관 비상연락 체계
1. 조종자 즉시 조치
- 비상 상황 발생 시, 즉시 비행을 중단하고 기체를 안전한 장소에 착륙.
- 인명·재산 피해 발생 여부를 신속히 확인.
2. 현장 안전 확보
- 주변 접근을 차단하고 2차 피해 방지.
- 필요 시 소방·경찰에 긴급 구조 요청.
3. 초기 상황 보고
- 조종자 → 운영책임자(팀장)에게 즉시 구두보고.
- 피해 규모, 위치, 발생 시각, 기체 상태 간략 보고.
4. 유관기관 보고
- 인명 피해: 119, 경찰(112) 즉시 신고.
- 항공 안전 관련: 국토교통부 항공안전감독관 및 관할 지방항공청에 보고.
- 기체 추락·분실: 관할 지자체와 협조.
5. 내부 기록 작성
- 사고경위, 기체 상태, 피해 상황을 사고보고서 양식에 기록.
- 사진·영상 증거 확보.
6. 사고보고서 제출
- 소속 기관 및 국토교통부(드론 원스톱 신고 시스템)에 24시간 이내 전자보고.
- 추가 조사 필요 시, 관계기관 협조.
7. 후속 조치
- 사고 원인 분석 및 재발방지 대책 수립.
- 기체 정비·점검 완료 후 비행 재개 승인.
반응형
'실전 드론 사고 백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전 점검 리스트 (0) | 2025.09.19 |
---|---|
폐건전지(배터리) 분리배출 요령 (0) | 2025.09.18 |
안전은 장소 이해에서 시작된다 (0) | 2025.09.18 |
드론 촬영, ‘장소 이해’에서 시작된다 (1) | 2025.09.17 |
착륙 후 진짜 시작되는 '데이터 관리'의 시간 (2) | 2025.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