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비행(8)
-
기상 조건에 따른 안전한 드론 비행
기상 조건에 따른 안전한 드론 비행 — — ep.79 드론 촬영에서 가장 큰 변수는 바로 날씨입니다.아무리 실력이 뛰어나도, 기체가 최신형이라 해도 기상 조건을 무시하면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안전을 위한 첫걸음은 하늘을 읽는 눈을 기르는 것입니다.■ 1. 맑은 날씨촬영에는 이상적이지만, 햇빛이 강한 정오 시간대에는 센서 오작동(예: 장애물 회피 센서 오류)이 생기기도 합니다.조종자는 선글라스를 착용해 눈부심을 줄이고, 기체의 위치를 분명하게 확인해야 합니다.■ 2. 흐린 날과 바람이 있는 날흐린 날은 노출이 안정적이어서 영상은 부드럽지만, 대개 바람이 함께 동반됩니다.바람이 강하면 기체가 한쪽으로 밀리거나 배터리 소모가 빨라집니다.바람이 5m/s 이상일 경우, 가급적 비행을 자제하는 것이 안전합..
2025.10.01 -
드론 촬영자의 기본 안전 수칙
드론 촬영자의 기본 안전 수칙 — —ep.78 드론 촬영은 단순히 ‘하늘을 나는 카메라’를 다루는 일이 아닙니다. 촬영자는 동시에 조종자이자 안전 관리자가 되어야 합니다. 작은 부주의가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안전은 언제나 최우선입니다.■ 1. 비행 전 안전 점검은 의무배터리 상태 확인 : 충분히 충전되어 있는지, 팽창·손상 여부는 없는지 확인합니다.프로펠러 점검 : 균열, 이물질이 없는지 살피고 필요시 교체해야 합니다.자기장 환경 확인 : 송전탑, 철 구조물, 차량 주변 등은 간섭이 심해 조종 신호가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2. 안전 비행 고도와 거리 유지법적으로 규정된 고도(150m 이하)와 시야 내 비행을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사람이 많은 장소, 도로 위, 건물 밀집 구역은 피해야 ..
2025.09.30 -
실패한 촬영에서 배우는 교훈
실패한 촬영에서 배우는 교훈 — —ep.77 드론 촬영을 하다 보면 누구나 한 번쯤은 “아, 이건 망했다” 싶은 순간을 겪습니다.구도가 틀어지거나, 빛을 잘못 읽었거나, 심지어 날씨 변화 때문에 영상이 엉망이 되기도 하지요. 처음에는 아쉽고 속상하지만, 되돌아보면 그 순간이 오히려 큰 자산이 됩니다.■ 흔히 겪는 실패의 순간구도 : 의도와 다르게 피사체가 화면 밖으로 밀려나 버린 경우노출 : 흐린 날씨라 밝게 설정했더니, 갑자기 햇빛이 나와 화면이 하얗게 날아간 경우비행 경로 : 멋진 곡선을 그리려다 돌발 바람에 궤적이 틀어진 경우예상치 못한 방해 요소 : 촬영 중간에 지나가는 새, 사람, 차량■ 실패가 주는 가르침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도록 체크리스트를 만들게 됩니다.현장에서 즉흥적으로 대처하는 순발력..
2025.09.25 -
비행 중 주의해야 할 상황과 즉각적 대응법
비행 중 주의해야 할 상황과 즉각적 대응법 — —ep.75 ■ 갑작스러운 신호 끊김비행 중 가장 흔한 상황은 조종기와 기체 간 신호가 순간적으로 끊기는 경우입니다.이럴 때는 당황하지 말고, RTH(Return To Home) 기능을 활용해 기체가 스스로 돌아올 시간을 주는 것이 우선입니다.단, RTH 고도 설정이 낮으면 나무나 건물에 걸릴 수 있으니, 사전 세팅이 매우 중요합니다.■ 바람과 기상 변화하늘 위 바람은 지상과 다릅니다.특히 골짜기나 바닷가에서는 돌풍이 갑자기 불어 기체가 휘청거릴 수 있습니다.속도가 느려지고 기체가 기울어진다면 무리하지 말고 즉시 안전 방향으로 하강하는 게 최선입니다.■ 주변 방해 요소비행 중 새가 공격적으로 다가오거나, 갑자기 예상치 못한 소음·물체가 기체에 영향을 줄 수 ..
2025.09.23 -
대구 공항 관제권 내 드론 비행 정보 요약
--- 이미지 설명회색 원형: 대구 공항 관제권(CTR, Control Zone)주황색 선: 비행 제한 구역초록색 원: 산림청·문화재청·군부대 등 기타 개별 제한 구역파란색 체크 영역: 사용자가 표시한 비행 불가 또는 승인 매우 어려운 구역---파란색으로 표시한 영역 (완전 비행 금지 혹은 극히 제한된 구역)이 영역은 대구 공항 활주로 바로 인접한 CTR 내 핵심 구역으로 판단됩니다.공항 관제탑에서 안전 문제로 인해 비행 승인 자체를 허가하지 않는 지역입니다.실제로, 해당 구역은 고도에 상관없이 승인 자체가 불가하거나, 국방부·공항 측 협의가 필요한 민감 구역입니다.드론 비행 불가 지역: 사전 협의 없는 비행은 불법이며 처벌 대상입니다.---그 외 CTR 내부 다른 지역 (주황색 선 내부, 파란색 체크 ..
2025.06.16 -
관제권 비행 전, 하나 더 – DJI의 잠금해제 요청을 잊지 마세요
관제권 비행 전, 하나 더 – DJI의 잠금해제 요청을 잊지 마세요김해 관제권 1번지. 우리나라 항공안전지도상으로는 분명히 관제권으로 분류된 곳이지만, 막상 DJI 앱에서 지도를 보면 그 관제권의 범위가 다르게 표시됩니다.![사진1 - DJI 앱 지도와 국토부 지도 비교]두 지도의 격차는 비행 전 반드시 체크해야 할 중요한 포인트입니다.우리나라 공역 지도는 국토부 기준, DJI는 자체 데이터 기준이라 서로 1:1로 일치하지 않습니다. 이로 인해, 국내에서 비행 승인을 받았더라도 DJI 드론이 자동으로 이륙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그래서 꼭 필요한 절차가 있습니다.바로 DJI FlySafe Unlock – 잠금해제 요청입니다.이는 공역 내에서 DJI가 자체적으로 설정한 ‘비행 제한 구역’을 사용자가 사전 승..
2025.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