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I(14)
-
잭커리 100Plus 파워뱅크 – 매빅3프로 비행 중 든든한 백업
본문드론을 들고 나갈 때, 가장 먼저 체크하는 건 역시 배터리다.촬영 욕심은 늘 앞서고, 현실은 부족한 배터리 탓에 늘 타협하게 된다.그래서 이번엔 조금 더 든든한 외부 전원으로잭커리 100Plus 파워뱅크를 들여봤다.차량용 보조 전원용으로도 유명한 잭커리 제품이라신뢰는 있었고, 스펙도 나쁘지 않았다. 실제 사용 후기실제로 DJI Mavic 3 Pro 배터리 1개를 충전해봤다.완전히 소모된 배터리를 완충하는 데 걸린 시간은 약 50분.충전이 끝났을 때 파워뱅크의 잔량은 약 30% 정도 남아 있었다.생각보다 시간은 빠른 편이었고출력 안정성도 괜찮았다.기기 과열 없이 충전이 완료됐고USB-C PD 출력은 비교적 고르게 유지되었다.Mavic 3 Pro 배터리 용량은 약 5000mAh (77Wh)이며,Jacke..
2025.07.28 -
두번째 ``김해공항 관제권 내 드론 비행, 잠금해제 이렇게 했습니다
---- 본문 내용(앞내용과 같으나 지금은 1~2번 승인절차 정리입니다)김해공항 관제권 내 2번과 3번 구역 사이에서 드론을 띄우기 위해선,'비행 승인' '촬영승인'이 먼저 필요합니다.촬영 승인을 받더라도 비행 승인 없이는 이륙 자체가 불가능하니까요.비행승인도 보완사항으로 재신청 하라고 나오네요. 이렇게 고도를 낮추어 신청하라고 친절하게 설명을 해줘요 비행승인이 떨어지면 비행 승인을 받은 뒤에는 DJI 공식 홈페이지에서 잠금해제를 해야 실제 비행이 가능합니다.----DJI 잠금 해제 절차DJI 홈페이지 접속상단 메뉴에서 고객지원 클릭왼쪽 아래 비행제한구역 조회 클릭좌측 상단 잠금 해제 클릭새로운 잠금 해제 요청 선택승인받은 비행구역 정보 입력 후 요청▶ 요청 후 약 1시간 이내에 승인됨 (보통 더 빠름)..
2025.05.19 -
첫번째~~김해공항 관제권 내 드론 비행, 잠금해제 이렇게 했습니다
2~3번 사이 ---- 본문 내용김해공항 관제권 내 2번과 3번 구역 사이에서 드론을 띄우기 위해선,'비행 승인' '촬영승인'이 먼저 필요합니다.촬영 승인을 받더라도 비행 승인 없이는 이륙 자체가 불가능하니까요.비행 승인을 받은 뒤에는 DJI 공식 홈페이지에서 잠금해제를 해야 실제 비행이 가능합니다.---- DJI 잠금 해제 절차DJI 홈페이지 접속상단 메뉴에서 고객지원 클릭왼쪽 아래 비행제한구역 조회 클릭좌측 상단 잠금 해제 클릭새로운 잠금 해제 요청 선택승인받은 비행구역 정보 입력 후 요청▶ 요청 후 약 1시간 이내에 승인됨 (보통 더 빠름)※ 단, 김해공항 2~3구역은 요청해도 자주 거부됨→ 그런데 이상하게도 현장에서 그냥 자동으로 잠금 해제되는 경우도 있음그래서 이번에는 그냥 승인받은 비행 구역으..
2025.04.29 -
드론으로 순간을 포착하는 법: 느리게 나는 이유
— 드론과 감성사진 수업 ep.4드론을 처음 날릴 때, 우리는 종종 너무 많은 걸 담으려 한다.넓은 풍경을 한 번에 보여주고 싶고, 높고 빠르게 올라가서 스케일을 뽐내고 싶다.하지만 이상하게도, 그렇게 찍은 사진과 영상은 늘 마음에 오래 남지 않는다.감성적인 사진은 빠른 움직임에서 태어나지 않는다.오히려, '느리게' 나는 드론만이 그 순간의 감정을 제대로 담을 수 있다.오늘은 드론을 날릴 때 '느림'이 가지는 힘, 그리고 순간을 포착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한다.--- 빠르게 날면 풍경은 사라지고, 느리게 날면 이야기가 시작된다빠르게 움직이는 드론은 풍경을 스캔한다.하지만 느리게 나는 드론은 풍경과 대화를 나눈다.빠르게 지나가면, 눈에 남는 건 풍경의 크기뿐이다.천천히 날면, 빛의 결, 바람의 흐름..
2025.04.29 -
2, 승곡 체험 휴양 마을 --사람과 사람 사이, 새로운 인연을 잇다
사람과 사람 사이, 새로운 인연을 잇다승곡체험마을이 특별했던 또 하나의 이유는 사람과 사람을 잇는 힘에 있었습니다.이곳은 단순한 체험 공간이 아니라, 방문자의 성향에 따라 ‘귀촌형’ 또는 ‘귀농형’ 방향을 고려해 맞춤형 경험을 제공합니다.저처럼 막연한 귀촌의 꿈을 안고 온 사람부터, 본격적으로 작물을 재배하며 농업에 도전하고자 하는 이들까지 다양한 사람들이 이 마을을 찾습니다. 그리고 그들을 위해 마을에서는 이미 정착한 귀촌인, 귀농인, 그리고 본래부터 이곳에 살아온 지역 주민들과의 교류 기회를 마련해 줍니다.저는 이곳에서 여러 분들과 인연을 맺을 수 있었고, 그들을 통해 단순히 이상으로만 생각했던 농촌 생활의 현실적인 조언과 경험담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그것은 그 어떤 책이나 유튜브 영상에서도 얻을 ..
2025.03.27 -
1, 어느 날 갑자기, 귀촌과 귀농을 꿈꾸게 되었다
어느 날, 문득 그런 생각이 들었습니다.‘도시의 삶 말고, 자연 속에서 살아보면 어떨까?’시끄러운 거리, 바쁘게 움직이는 사람들, 반복되는 일상. 늘 익숙한 것들 속에서 문득 마음 한켠이 허전해질 때가 있었습니다. 그러다 지인의 이야기를 듣게 되었죠. 아는 분이 농촌에 가서 몇 달을 무료로 살아보고 돌아왔다는 이야기. 그 말 한마디가 낯설게 들리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이상하리만큼, 마음 깊숙한 곳이 끌렸습니다.그렇게 시작되었습니다. 귀촌과 귀농에 대한 막연한 동경이 조금씩 구체적인 상상으로 바뀌어갔죠.귀촌·귀농 관련 사이트를 이리저리 뒤적이던 중 '그린대로'라는 프로그램을 알게 되었습니다. 몇 달간 농촌에서 살아보는 체험을 할 수 있다는 점이 무척 매력적이었지만, 아쉽게도 일정이 맞지 않아 신청하지 못했..
2025.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