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비행(8)
-
기체가 ‘튀는 움직임’을 보일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
기체가 ‘튀는 움직임’을 보일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 — — ep.85 드론을 날리다보면기체가 갑자기 ‘툭’ 튀거나살짝 점프하듯 움직이는 경험을 하게 된다.이 움직임은 아주 짧고 순간적이어서처음엔 "바람인가?" 싶지만,경험이 쌓일수록 이 현상이 단순한 바람이 아니라장애·센서·기류·간섭의 신호라는 걸 알게 된다.오늘은 기체가 ‘튀는 움직임’을 보일 때조종자가 가장 먼저 해야 할 행동과그 이유를 이야기한다.🔹 1. 이상 움직임의 원인은 네 가지뿐이다드론이 갑자기 튀어 오르거나한쪽으로 순간적으로 밀리는 건아래 네 가지가 대부분이다.난기류 충돌 (기류 탓)센서 오작동GPS 신호 불안정전파 간섭 또는 자기장 간섭문제는 이 네 가지 모두순간적으로 나타나며시간차를 두고 더 큰 위험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것.그..
2025.11.08 -
긴장된 손끝, 비행 전 1분의 집중
긴장된 손끝, 비행 전 1분의 집중 —— ep.90 드론을 조종할 때 가장 중요한 순간은하늘 위도, 착륙 순간도 아니다.바로 이륙 직전의 1분,손끝이 살짝 떨리고, 숨이 조금 깊어지는 그 시간이다.이 1분은 단순한 준비가 아니라,하늘과 나 사이의 ‘약속’을 정리하는 순간이다.기체를 꺼내고, 케이블을 정리하고, 배터리를 장착하는 과정은 기술이지만마지막 1분은 마음의 균형을 잡는 과정이다.🔹 1. 손끝의 긴장을 인정하는 순간조종자라면 누구나 이륙 전 작은 긴장을 느낀다.아무리 많은 비행 경험이 있어도,하늘은 늘 새로운 곳이고,오늘의 바람과 오늘의 광량은 다시 오지 않는다.이 작은 긴장은 잘못된 게 아니다.오히려 **‘정상적인 감각’**이다.왜냐하면 긴장은 곧 집중이고,집중은 안전의 시작이기 때문이다.🔹..
2025.11.03 -
촬영지 답사와 사전 확인의 중요성
촬영지 답사와 사전 확인의 중요성 — — ep.80 드론 촬영은 단순히 하늘로 띄워 올리는 행위가 아닙니다좋은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현장을 이해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사전 답사와 준비 없이 촬영을 진행하면, 생각지 못한 위험과 제약에 부딪히게 됩니다.■ 왜 사전 답사가 필요한가지형 파악지도에서만 본 풍경과 실제 현장은 다를 때가 많습니다.주변에 전선, 송전탑, 군부대 시설, 혹은 촬영을 방해할 건물이 있을 수 있습니다.비행 제한 구역 확인일부 지역은 드론 비행 금지 또는 제한 구역일 수 있습니다.‘드론원스톱’ 같은 앱으로 반드시 확인해야 하며, 현장에서는 표지판이 추가로 설치된 경우도 있으니 눈여겨봐야 합니다.주변 환경과 안전 요소사람의 통행이 잦은 곳인지, 차량이 오가는 길목인지 미리 살펴야..
2025.10.02 -
드론 배터리 관리, 오래 쓰는 비밀
드론 배터리 관리, 오래 쓰는 비밀 — —ep.78 드론을 날리다 보면 배터리가 가장 먼저 소모되는 부품이라는 걸 절실히 느끼게 됩니다.잘 관리된 배터리는 비행 안정성과 수명 모두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단순히 충전하고 사용하는 것을 넘어 일상적인 관리 습관이 중요합니다.아래는 DJI 공식 지침과 여러 드론 커뮤니티, 전문가 팁을 참고한 배터리 관리법입니다.1. 보관 상태가 수명을 좌우한다사용하지 않을 때는 40~65% 충전 상태로 보관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DJI에서는 장기 보관 시 배터리를 이 범위까지 충전한 뒤 보관하라고 안내합니다. DJI너무 완전 충전 상태나 0% 상태로 장기간 두면 과다 방전 또는 부풀음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DJI+1보관 장소는 통풍이 잘되고 온화한 실내, 직..
2025.09.26 -
DJI Care Express 서비스, 직접 경험해보니
DJI Care Express 서비스, 직접 경험해보니드론을 오래 날리다 보면, 예상치 못한 순간에 기체에 이상이 생길 때가 있습니다. 저 역시 얼마 전 비행 중 기체 이상이 생겨 DJI Care Express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었는데, 실제로 겪어보니 ‘빠른 교체 서비스’라는 이름이 괜히 붙은 게 아니더군요.제가 가입한 건 2년형 DJI Care Refresh였고, 비용은 40만 원대였습니다. 보장 기간 안에서 총 4회 교체 가능하고, 실제 교체 시에는 약 19만 원 정도의 비용이 발생했습니다.이번에는 Express로 진행했는데, 전체 기간은 약 5일이 걸렸습니다. 기체를 DJI에 보내는 데 3일, 새 기체가 제 손에 도착하는 데 2일. 생각보다 훨씬 빠르게 교체가 마무리되었죠.비슷한 경험으로 과거에..
2025.09.25 -
안전 점검 리스트
현장에서 바로 쓰는 ‘안전 점검 리스트’ — — ep.75 드론 촬영은 언제나 새로운 풍경과 만남의 설렘을 줍니다. 그러나 이 설렘 뒤에는 반드시 지켜야 할 기본 원칙이 있습니다. 바로 안전 점검입니다. 오늘은 현장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간단하면서도 핵심적인 체크리스트를 준비했습니다.✅ 현장 안전 점검 리스트항목체크 포인트중요 이유 📝 점검의 의미이 리스트는 단순한 절차가 아니라, 촬영자의 태도를 보여줍니다.비행을 시작하기 전 단 5분만 투자하면, 사고를 막고 더 오래 드론과 함께할 수 있습니다.특히 초보자일수록 기체 자체보다는 “멋진 영상”에 집중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촬영은 준비된 안전 위에서만 가능합니다. 기체를 잃는 것은 금전적 손해에 불과할 수 있지만, 사고로 사람이나 환경에 피해가 간다면..
2025.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