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조종(4)
-
드론 촬영자의 기본 안전 수칙
드론 촬영자의 기본 안전 수칙 — —ep.78 드론 촬영은 단순히 ‘하늘을 나는 카메라’를 다루는 일이 아닙니다. 촬영자는 동시에 조종자이자 안전 관리자가 되어야 합니다. 작은 부주의가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안전은 언제나 최우선입니다.■ 1. 비행 전 안전 점검은 의무배터리 상태 확인 : 충분히 충전되어 있는지, 팽창·손상 여부는 없는지 확인합니다.프로펠러 점검 : 균열, 이물질이 없는지 살피고 필요시 교체해야 합니다.자기장 환경 확인 : 송전탑, 철 구조물, 차량 주변 등은 간섭이 심해 조종 신호가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2. 안전 비행 고도와 거리 유지법적으로 규정된 고도(150m 이하)와 시야 내 비행을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사람이 많은 장소, 도로 위, 건물 밀집 구역은 피해야 ..
2025.09.30 -
촬영 중 집중과 몰입, 그리고 균형 잡기
촬영 중 집중과 몰입, 그리고 균형 잡기 ——ep.76드론 촬영을 하다 보면 어느 순간 ‘화면 속 세상’에 완전히 빠져들게 됩니다.눈앞의 풍경과 모니터 속 영상이 하나가 되고, 조종기의 움직임에 따라 이야기가 흘러가는 듯한 몰입감이 생기지요. 하지만 이 몰입의 순간에도 항상 균형을 잃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몰입의 힘피사체와 앵글에 집중하면 더 섬세한 구도를 찾을 수 있습니다.순간의 흐름에 빠져들어 카메라 워킹이 부드러워지고, 영상에 생동감이 더해집니다.때로는 촬영자가 느낀 감정이 그대로 화면에 묻어나 관객에게 전달됩니다.■ 몰입의 함정장면에만 집중하다 보면 배터리 잔량이나 주변 상황을 놓치기 쉽습니다.특정 피사체에 매달리다 보면 전체 구도의 흐름이 어긋나거나, 위험 지역에 기체를 진입시키는 경우도 ..
2025.09.24 -
실패에서 배우는 성장의 순간
실패에서 배우는 성장의 순간— —ep.68 드론 촬영드론을 날리다 보면 누구나 한 번쯤은 실패라는 경험을 하게 됩니다. 계획한 대로 촬영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원하는 구도를 잡지 못하고, 때로는 기술적인 문제로 인해 영상을 날려버리기도 하지요. 하지만 돌이켜 보면 그 순간들이야말로 촬영자로서 한 단계 성장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곤 합니다.실패는 단순한 좌절이 아니라, 배움의 기록입니다. 배터리 관리 소홀로 인한 불시착은 철저한 준비의 필요성을 알려주고, 피사체와의 거리 계산 실패는 공간 감각을 다시 훈련하게 만듭니다. 심지어 “아, 오늘은 도저히 그림이 안 나온다”는 체념조차도, 다음 촬영을 위한 더 정교한 계획으로 이어지지요.드론 촬영은 결국 완벽을 추구하는 일이 아니라, 시행착오를 쌓아가며 자신만의 ..
2025.09.08 -
착륙지, 정말 그 자리가 맞을까?
--- 이륙보다 더 어려운 순간, 착륙드론을 띄울 때마다 느낍니다. 하늘은 넓고, 풍경은 아름다운데… 착륙은 늘 어렵고, 또 조심스럽습니다.이륙보다 어려운 게 착륙이라지만, 직접 겪어보면 그 말이 왜 진심인지 알게 됩니다.저는 예전에 산 정상 근처, 가로세로 1m 정도 되는 평평한 바위 위에 드론을 착륙시키려다 낭패를 본 적이 있습니다.바위 위는 보기엔 괜찮아 보였어요. 넓이도 충분하고 바닥도 고른 편이었죠. 주변엔 풀도 많고 경사도 심했기 때문에, 가장 안전해 보이는 자리가 바로 그 바위였습니다.드론을 천천히 내려 바닥에 닿기 직전, 저는 화면 속 장면만을 믿고 손을 떼었습니다. 그런데 그 순간, 드론은 마치 미끄러지듯 앞으로 '슥' 날아가더니, 바위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바닥은 고르지만 지형이 살짝 ..
2025.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