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층 건물 곁으로 오를 때, 난기류를 읽는 법
2025. 11. 26. 21:06ㆍ실전 드론 사고 백서
고층 건물 곁으로 오를 때, 난기류를 읽는 법 — — — ep.100
1) 상황
도심 촬영에서 가장 욕심나는 앵글은
빌딩 창문 가까이서 올라가며 만들어지는 수직 상승 샷이다.
하지만 멋진 만큼 위험도도 높다.
어느 날 고층 건물 옆을 타고 오르는데,
갑자기 기체가 옆으로 확 밀렸다.
아래는 사람과 차량이 뒤엉킨 도로.
심장이 먼저 기울었다.
2) 원인
- 빌딩 난기류(Updraft / Downdraft)
- 건물 벽면을 타고 흐르는 바람이 강하게 밀어냄
- GPS 신호 반사(멀티패스 오류)
- 위치가 순간적으로 튀어 위험한 보정 발생
- 지상·통신 장애물 증가
- 영상 딜레이 → 반응이 늦어지는 상황
- 집착 샷
- 멋에 취해 위험한 근접 비행을 계속하려는 마음
3) 대응
- 바람 방향 파악 → 바람을 등지고 상승
- 드론이 밀려도 건물을 향하지 않게
- 간격 5~10m 확보
- 비상 후진/상승 공간 유지
- 속도 일정 유지
- 급가속은 자세제어 센서에 부담
- 중간 체크 호버링
- 15m 간격마다 한 번씩 자세·화면 점검
- 갑작스런 측풍 → 즉시 수평 회피
- 전진보다 옆으로 벗어나는 게 안전
- RTH(복귀) 대신 수동 복귀 판단
- 건물 주변에서 자동 복귀는 충돌 위험
4) 교훈
수직 상승 샷은
“바람을 이해한 사람”만 찍을 수 있다.
라인 선택 + 거리 확보 + 중간 점검
이 세 가지만 지켜도
도심 난기류는 충분히 이겨낼 수 있다.

반응형
'실전 드론 사고 백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파노라마와 구체 사진 (0) | 2025.11.26 |
|---|---|
| 도심 착륙, 한 번에 정확하게 내리는 법 (0) | 2025.11.25 |
| 드론으로 인생 사진 건지는 5가지 구도와 시간 활용법 (0) | 2025.11.25 |
| 드론 사진과 영상, 무엇이 다른가? 사진 촬영을 위한 최적의 설정 (0) | 2025.11.24 |
| 도심 돌발상황 (0) | 2025.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