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78)
-
촬영지 답사와 사전 확인의 중요성
촬영지 답사와 사전 확인의 중요성 — — ep.80 드론 촬영은 단순히 하늘로 띄워 올리는 행위가 아닙니다좋은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현장을 이해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사전 답사와 준비 없이 촬영을 진행하면, 생각지 못한 위험과 제약에 부딪히게 됩니다.■ 왜 사전 답사가 필요한가지형 파악지도에서만 본 풍경과 실제 현장은 다를 때가 많습니다.주변에 전선, 송전탑, 군부대 시설, 혹은 촬영을 방해할 건물이 있을 수 있습니다.비행 제한 구역 확인일부 지역은 드론 비행 금지 또는 제한 구역일 수 있습니다.‘드론원스톱’ 같은 앱으로 반드시 확인해야 하며, 현장에서는 표지판이 추가로 설치된 경우도 있으니 눈여겨봐야 합니다.주변 환경과 안전 요소사람의 통행이 잦은 곳인지, 차량이 오가는 길목인지 미리 살펴야..
2025.10.02 -
기상 조건에 따른 안전한 드론 비행
기상 조건에 따른 안전한 드론 비행 — — ep.79 드론 촬영에서 가장 큰 변수는 바로 날씨입니다.아무리 실력이 뛰어나도, 기체가 최신형이라 해도 기상 조건을 무시하면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안전을 위한 첫걸음은 하늘을 읽는 눈을 기르는 것입니다.■ 1. 맑은 날씨촬영에는 이상적이지만, 햇빛이 강한 정오 시간대에는 센서 오작동(예: 장애물 회피 센서 오류)이 생기기도 합니다.조종자는 선글라스를 착용해 눈부심을 줄이고, 기체의 위치를 분명하게 확인해야 합니다.■ 2. 흐린 날과 바람이 있는 날흐린 날은 노출이 안정적이어서 영상은 부드럽지만, 대개 바람이 함께 동반됩니다.바람이 강하면 기체가 한쪽으로 밀리거나 배터리 소모가 빨라집니다.바람이 5m/s 이상일 경우, 가급적 비행을 자제하는 것이 안전합..
2025.10.01 -
구름과 바람이 머무는 곳, 황매산 초가을
황매산에 오르던 날, 계절은 아직 가을의 문턱에 머물러 있었습니다. 9월 초의 산은 여전히 푸른 잎들이 산자락을 가득 채우고 있었고, 능선마다 구름이 낮게 깔려 흘러가며 신비로운 풍경을 만들어냈습니다. 드론을 띄우자, 하얀 구름 사이로 파란 하늘이 열리며 황매산의 능선이 드러났습니다. 구름에 가려졌다가 다시 나타나는 능선의 모습은 마치 숨바꼭질 같았고, 그 순간순간이 한 폭의 그림처럼 다가왔습니다. 아직은 덜 자란 억새들이 능선마다 줄지어 서 있었는데, 초록빛 줄기 위로 햇살을 받으며 은빛을 머금어 가을의 전조를 보여주었습니다. 시간이 조금 더 흐르면 황매산은 억새의 바다로 물들겠지만, 그 전의 이 풋풋한 모습 또한 놓칠 수 없는 아름다움이었습니다. 바람이 구름을 몰고 와 능선을 감싸고, 다시 흩어지면 ..
2025.09.30 -
드론 촬영자의 기본 안전 수칙
드론 촬영자의 기본 안전 수칙 — —ep.78 드론 촬영은 단순히 ‘하늘을 나는 카메라’를 다루는 일이 아닙니다. 촬영자는 동시에 조종자이자 안전 관리자가 되어야 합니다. 작은 부주의가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안전은 언제나 최우선입니다.■ 1. 비행 전 안전 점검은 의무배터리 상태 확인 : 충분히 충전되어 있는지, 팽창·손상 여부는 없는지 확인합니다.프로펠러 점검 : 균열, 이물질이 없는지 살피고 필요시 교체해야 합니다.자기장 환경 확인 : 송전탑, 철 구조물, 차량 주변 등은 간섭이 심해 조종 신호가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2. 안전 비행 고도와 거리 유지법적으로 규정된 고도(150m 이하)와 시야 내 비행을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사람이 많은 장소, 도로 위, 건물 밀집 구역은 피해야 ..
2025.09.30 -
주기적 충방전 & 셀 균형 점검, 이렇게 해보세요
주기적 충방전 & 셀 균형 점검, 이렇게 해보세요① 주기적 충방전 (Cycle)방법배터리를 완충(100%) → 드론을 날려 약 15~20% 수준까지 사용.(0%까지 쓰면 배터리에 무리가 가므로 피해야 합니다.)다시 100%까지 충전.이 과정을 2~3개월에 한 번 정도 해주면 됩니다.효과배터리 내부의 화학적 불균형을 줄여줌잔량 센서가 보다 정확해져, “남은 비행 시간 표시”가 신뢰성 있게 변함② 셀 균형 점검 (Cell Balance Check)DJI 드론 배터리는 대부분 스마트 배터리라서, 내부에 BMS(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있어서 기본적인 셀 균형은 자동으로 맞춰줍니다.하지만 사용자가 직접 이상이 있는지 확인해주는 게 좋아요.확인 방법DJI Fly 앱 또는 DJI GO 앱을 열고 → 배터리 정보 메뉴..
2025.09.26 -
드론 배터리 관리, 오래 쓰는 비밀
드론 배터리 관리, 오래 쓰는 비밀 — —ep.78 드론을 날리다 보면 배터리가 가장 먼저 소모되는 부품이라는 걸 절실히 느끼게 됩니다.잘 관리된 배터리는 비행 안정성과 수명 모두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단순히 충전하고 사용하는 것을 넘어 일상적인 관리 습관이 중요합니다.아래는 DJI 공식 지침과 여러 드론 커뮤니티, 전문가 팁을 참고한 배터리 관리법입니다.1. 보관 상태가 수명을 좌우한다사용하지 않을 때는 40~65% 충전 상태로 보관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DJI에서는 장기 보관 시 배터리를 이 범위까지 충전한 뒤 보관하라고 안내합니다. DJI너무 완전 충전 상태나 0% 상태로 장기간 두면 과다 방전 또는 부풀음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DJI+1보관 장소는 통풍이 잘되고 온화한 실내, 직..
2025.09.26